[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8일 국회에 제출한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은 안정적인 전력수급과 온실가스 감축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해 신규원전 2기 등 발전설비를 충분히 확충하고 건설이 어려운 석탄설비 철회 및 장기가동 석탄설비 대체건설 등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를 위한 저탄소 전원 구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

또한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 △수요전망의 정밀성과 객관성 확보 △에너지신산업을 적극 활용한 수요관리목표 확대 △POST 2020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저탄소 전원믹스 강화 △분산형 전원기반 구축에 역점을 둬 수립했다.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기온변동성 확대, 설비건설 차질 등 수급불안 가능성에 대비해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최우선에 두고 설비 확충을 추진할 계획이다.

오는 2029년 기준 22% 수준의 설비예비율을 목표로 설비계획을 수립했으며 공급불확실성 대응물량은 별도 반영하지 않기로 했다.

또한 중장기 전력수요 예측시 과거 전력수급기본계획과는 달리 선진국(14개국)의 전력수요 변화추세를 반영하고 기온 변동성을 적극 고려하는 등 수요예측모형을 대폭 개선했다.

수요전망시 경제성장률과 전기요금 등 최신의 예측전제를 활용해 예측의 정밀성 제고했다.

6차 계획의 GDP성장률은 3.48%(계획기간 평균치)로 잡은데 비해 7차는 KDI의 새로운 성장전망치인 3.06%로 조정했다.

아울러 미래 전기요금 전망에 있어서도 국제기구나 기관의 연료비전망을 고려하고 총괄원가에 대한 실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기요금을 전망하는 방식으로 개선했다.

특히 학계 전문가들이 설계한 과학적 모형을 통해 수요를 예측하고 전문가들로 구성된 수요계획소위원회의 객관적 결정에 따라 수요예측을 실시했다.

정부의 목표수요는 최종년도 기준으로 전력소비량 14.3%, 최대전력 12%를 감축하는 수요관리 목표를 반영해 산출했으며 이는 2차 에너지기본계획상의 전력소비량 12.5%(2029년 기준) 감축목표보다 더욱 진일보한 목표를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결과 목표수요는 2029년 전력소비량과 최대전력은 각각 65만6,883GWh, 1억1,193만kW로 전망됐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2.2% 수준이다.

수요관리수단과 관련해서는 수요자원 거래시장(네가와트), ESS(Energy Storage System), EMS(Energy Management System) 등 ICT 에너지신산업을 적극 활용하기로 한 것도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또 다른 특징이다.

산업부는 수요관리수단을 적극 활용, 앞으로는 건물 냉방온도제한, 강제적인 산업체 절전규제 등을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을 계획이다.

또한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Post 2020과 연계해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기 위한 최대한의 조치를 포함했다.

우선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수요관리목표보다 훨씬 높은 수요관리목표(전력소비량기준 14.3%, 최대전력기준 12%)를 설정했다.

전원구성측면에서는 연료(영흥), 송전설비(동부하슬라) 문제로 허가받지 못한 설비를 철회해 석탄비중을 최소화했으며 신규설비물량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원전(2기 300만kW)로 충당함으로써 온실가스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40년 이상 가동된 장기가동 석탄화력 설비의 대체건설은 환경성이 개선되는 경우에 한해 허용할 방침이다.

신재생에너지는 2차 에너지기본계획, 4차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의 신재생 설비용량, 발전량 목표를 감안해 전원 구성에 반영했다.

향후 신재생 확대보급을 지속 지원함으로써 계획기간 동안 현재 시점보다 설비용량 기준으로는 약 5배, 발전량 기준으로는 약 4배가 증가할 전망으로 설비용량 기준으로는 석탄, LNG 복합 등 화력설비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송전최소화의 편익이 있는 소규모(40MW 이하) 및 수요지 발전설비(500MW 이하)를 분산형 전원으로 정의하고 전력시장제도 개선, 구역전기사업 경쟁력 강화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다.

이러한 노력을 차질없이 추진할 경우 2029년의 분산형 전원 비중은 12.5%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발전사업 이행력 강화를 위해 미착공 발전사업에 대한 허가취소 근거 마련, 대주주 변경시 정부인가, 건설의향평가제 폐지 등 제도 개선조치도 포함했다.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전원구성 전망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이산화탄소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저탄소 전원구성을 함으로써 국제적으로 논의 진행중인 POST 2020에 적극 대응할 예정이다.

우선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이미 반영돼 있는 석탄화력설비 중 각각 고체연료사용, 송전선로 문제로 건설 이행이 어려운 영흥화력 7,8호기(174만kW), 동부 하슬라 1,2호기(200만kW) 등을 철회한다.

그 결과 오는 2029년도 전원구성은 정격용량 기준으로는 석탄(26.7%), 원전(23.7%), LNG(20.5%), 신재생(20.0%) 순이며 피크기여도 기준으로는 석탄(32.2%), 원전(28.5%), LNG(24.7%) 순이 될 전망이다.

6차 수급계획과 비교해서는 석탄 비중이 2.5%p 감소하지만 원전 비중은 1.1%p, LNG비중은 0.4%p, 신재생 비중은 0.1%p 증가할 전망이다.

◇신규원전과 고리1호기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총 300만kW 규모의 원전 2기(각 150만kW 규모, 2028·2029년 각 1기씩)를 건설할 계획이다.

이는 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원전비중 목표와 연료비, 환경비용, 송전 및 정책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다.

정부는 2013년 2월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원전 4기 물량(600만kW)을 도출했으나 유보한 바 있으며 2014년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는 2035년 원전설비 비중을 29%로 정한 바 있다.

한수원은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이미 확정설비로 반영돼 있는 신고리 원전 7,8호기 물량을 활용해 ‘천지(영덕) 1,2호기’를 건설(2026·2027년 각 1기 준공)하는 의향을 제출했다.

또한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신규물량인 원전2기에 대해 한수원은 ‘대진(삼척) 1,2호기 또는 천지(영덕) 3,4호기’로 건설의향을 제출할 예정이며 이에 대한 최종입지는 오는 2018년경 발전사업 허가단계에서 확정된다.

◇향후 추진일정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에 대한 공청회(18일), 국회 상임위 보고(6월 중) 등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하고 전력정책심의회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6월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