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정부는 지난해 6월 확정·발표한 ‘자원개발 추진체계 개선방안’에서 자원개발 공기업의 내실화와 민간의 투자 활성화를 통해 국가 전체의 자원개발 역량을 지속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민간의 해외자원개발 투자 활성화를 위해선 정부·공기업 동반지원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민간 자원개발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이의 일환으로 공기업의 기술과 인력, 신용도를 활용해 민간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고 공기업 해외자산을 테스트베드로 활용해 민간기업의 기술·인력 양성을 지원키로 했다.

민간부문 인력양성을 위한 정부와 자원개발 공기업의 동반지원이 첫 모습을 드러냈다.

지난 7일 해외자원개발협회와 한국가스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등 자원개발 공기업 3개사가 자원개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해외자원개발의 전문화를 도모하고 민간 자원개발 종사자들의 기술력을 제고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해외자원개발협회가 자체적으로 인력양성 교육을 진행해 왔는데 이번에 공기업 3사가 함께 전문인력 양성에 나선다는 점에서 시너지효과가 기대된다.

또 지금은 해외자원개발이 침체기에 있지만 향후 자원개발 투자 활성화에 대비하기 위한 전문인력 양성을 미리 준비한다는 점에서 크게 반길만한 일이다.

하지만 아쉬운 점이 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한 인력양성은 전문 강사진을 통한 이론 중심의 교육이라는 점이다. 협회와 공기업들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현장 중심의 자원 공기업의 노하우를 배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결국 강의실에서 이뤄지는 교육이라는 한계가 있다.

정부가 공기업 해외자산을 테스트베드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은 아직 요원할까. 이론 심화교육도 중요하지만 자원개발 현장을 직접 보고 활용하는 실습 교육 마련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물론 현장 실습 교육은 많은 비용이 수반될 것이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현장 실증 R&D 및 인력양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다.

자원개발특성화 대학이 운영되고 있지만 학생들을 해외 현지 자원개발 현장에 한 번 데려가고 싶어도 재원 마련이 쉽지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자원개발 산업은 장기적인 투자와 준비가 필요한 분야로 기초과학, 응용과학은 물론 지질, 지구물리, 엔지니어, 경영, 법무 등의 전문 인력과 최첨단 기술이 집약돼야 한다.

특히 자원개발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표적인 IoT·ICT 및 빅데이터 등의 기술이 가장 넓게 사용될 수 있는 사업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고 조선·해양, 철강·플랜트, 부품소재 등의 연관 산업의 동반성장을 리드할 수 있는 분야라는 점에서 융합형 전문인력 양성에도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가 자원개발 인력양성에 있어 보다 큰 그림을 갖고 중장기적인 계획으로 지원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