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대인 기자
▲조대인 기자

[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정부의 에너지전환과 친환경차 및 2050 탄소중립 정책으로 향후 석유시장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정유사는 물론 석유유통 대리점, 주유소업계의 시름이 깊다. 

휘발유나 경유 등 석유제품의 초과공급 현상에 정제마진 악화 현상을 겪는 정유사는 체질개선을 통해 석유화학산업 비중을 확대하고 있지만 기간산업인 정제시설 가동률을 낮춰 납사생산 비율을 높이는데에도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석유유통 대리점이나 주유소업계는 전기 및 수소차 확대로 인해 감소하는 석유 판매량과 정부의 알뜰주유소 정책에 수익이 급감하고 있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주유소가 줄어드는 대신 전기와 수소충전소가 확산되며 휘발유와 경유, 등유 등 석유제품 소비는 감소될 수밖에 없게 된다. 

내연기관차 생산을 점차 줄이고 수소와 전기차 등 친환경차 생산 및 판매를 확대해 나갈 경우 종국에는 석유수요 감소로 귀착된다.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이끌어내겠다는 대명제는 분명 올바른 정책 추진 방향이지만 에너지산업의 주축 역할을 해 온 석유산업에 퇴로를 열어주고 연착륙의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이 부작용을 최소화할 길이다. 

미래를 위한 정부의 정책 추진과 준비가 옳은 방향이지만 석유유통 대리점이나 주유소업계에 휴폐업과 토양오염 복원 등을 위한 지원을 해 주지 않는 일방 통행식 정책은 관련 업계로부터 결코 환영 받지 못하게 된다. 소통을 확대하고 중소대기업간 상생 또는 공생 환경이 무엇보다 절실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