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글로벌 경제의 회복흐름이 본격화되면서 기업들이 한 숨을 돌리나 싶었더니 이제는 원자재 가격 상승에 발목이 잡혔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원유와 철강, 구리 등 원자재 수요는 주요국의 경기 부양책과 친환경 트렌드 전환 등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공급 회복 속도가 수요만큼 충분하지 않아 가격이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웃돌고 있다”라며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충격 최소화를 위해 정부가 보유한 비축물자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할인·외상 방출을 통해 기업의 구매 부담을 완화하는 등 원자재 가격이 우리 경제에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정부의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이미 시장에서는 원자재 수급 불안이 가격에 반영되기 시작했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4월 생산자물가지수는 3월(107.04)보다 0.6% 높은 107.68(2015년 수준 100)로 집계됐다. 특히 원자재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제1차금속제품(3.2%), 화학제품(2.1%) 등의 상승 폭이 컸다.

LPG용기의 경우 도료 및 밸브값 인상에 이미 적게는 2,000원에서 4,000원 수준까지 검사비 인상이 통보됐다. 볼밸브, 동관, 온수분배기, 도시가스 입상보호대, 백관 등을 만드는 강관 등의 가격도 적게는 2%, 많게는 10%까지 인상됐거나 될 예정이다. 이로 인한 연쇄적인 제품 가격 상승이 우려된다. 

원자재 가격 상승의 불안 요소에 해상운임까지 큰 폭으로 올라 냉난방공조, 화학 등 주요 수출산업이 타격을 입고 있다. 20ft 컨테이너 운임이 1,500달러에서 이제는 5,000달러를 주고도 선적할 배를 구하기 힘들다. 

세계경기 회복 등에 따른 물동량 증가 등에 따라 당분간 해상·항공 고운임 지속 우려에 정부에서는 선복 공급을 늘리고 6월부터 중소·중견기업 대상 수출바우처 물류비 지원한도를 2배로 상향하는 등 해상·항공 운임지원 규모를 70억원에서 121억원으로 확대하겠다는 조치를 내놓았다.

원자재 가격 상승이라는 새로운 난관을 만난 우리 경제가 회복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정부가 제시한 정책이 얼마나 빠르게 현장에 적용되느냐가 중요해진 시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