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간 전쟁이 발발한다면 우리나라의 석유 수급은 어떻게 될 것인가?

중동전쟁을 비롯한 각종 석유위기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과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책 제시를 위해서 지난 1년간 준비된 국가석유위기대응시스템 구축이 완료됐다.

우선 국가석유위기대응시스템은 국내 석유제품 수요 및 재고 현황과 해외 원유 도입 동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석유위기 상황을 감지한다.

석유위기란 다양한 국내외적 요인에 의해 야기된 국가적 석유수급 차질상황으로서 평시대비 7% 이상의 원유 또는 석유제품의 공급이 중단되거나 부족한 상황을 말한다.

또한 석유 감소량에 따라 석유위기를 5단계로 나눠 단계별로 석유소비억제, 에너지 전환 체계, 비축유 방출, 할당·배급제 등의 대책을 제시, 정부시책에 즉각적으로 반영되도록 한다.

이러한 석유위기대응시스템의 구축을 알리고 이용을 돕기 위해 한국석유공사는 지난달 28일 석유공사를 포함한 산업자원부, 정유 5사, 석유유통협회, 주유소협회, 석유일반판매소협회 등의 관계자를 초청, 시스템 시연회를 가졌다.

이로써 지난 3년간 3차에 걸쳐서 작업이 진행된 석유정보망 www. petronet.org가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 서비스된다.

석유정보망은 지난 97년 1차에서 국내석유소비량, 주유소 판매가격 등을 알 수 있는 국내 석유수급 정보 시스템이, 98년 2차에서 국제유가, 국제 석유생산량 등 해외 석유관련 정보 시스템이 구축됐고, 99년 1·2차의 국내·해외 정보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석유위기대응시스템이 마무리됐다.

현재 석유정보망의 가입자는 2만2천명이며 1년 이용료는 22만원이다.

석유정보망 프로그램의 주 사업자는 현대정보기술이며 석유위기대응시스템은 한국엑스퍼트에서 사업을 맡았다.

한편 시연회 도중 한 관련 관계자는 “석유위기대응시스템은 국가에너지정보 구축을 위한 첫걸음일뿐이며 관련업계의 폭넓은 이해와 협조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 일각에서는 “석유 ‘위기’라는 논리로 정부에서 국내 석유업계의 흐름을 속속들이 파악하려는 시스템”이라고 일축했다.

최옥균 기자 okyun@enn.co.kr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