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강은철 기자] △추진 배경 및 경과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은 국가에너지기본계획과 관련한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과 온실가스감축 등을 위해 추진하는 최상위 기술개발계획으로 에너지법 제11조에 따라 5년마다 10년 이상을 계획기간으로 수립하고 있다.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이 에너지Mix와 정책방향에서 1차 기본계획과는 차별화돼 새로운 기술개발계획을 조기에 수립했다. 수요관리 중심으로 에너지정책 전환(2035년, 수요의 13% 절감), 발전량의 15% 이상 분산형으로 공급, 환경·안전과 조화 제고, 신재생에너지 보급 11% 등이 정책목표다.

이번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은 올해 1월 이후 산학연관 전문가 300명이 참여했으며 공청회(10월8일), 산업부 전략기획투자협의회(12월10일),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12월16일) 등을 통해 각계 의견을 수렴했다.

△비전 및 목표

‘신산업창출과 혁신생태계 구축으로 에너지기술 선진국 도약’이라는 비전으로 산업경쟁력의 강화, 기술혁신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R&D 생산성의 향상을 정책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 지표로는 신재생하이브리드·ESS·에너지 IoT 등 주요분야 세계시장 10% 이상 확보, 국가온실가스 감축계획에 주도적인 기여, 기술사업화율 10%p 제고 등이다.

△추진 전략

먼저 미래선도를 위한 신 R&D체계를 구축한다. 시장-미래-세계를 지향하는 개발체계를 강화해 비즈니스형 R&D, 원천상용화 등 한계돌파형 R&D, 국제공동연구를 확대하고 공급-수요관리-융합혁신의 3대 구조로 R&D를 추진해 공급기술간 경쟁, 수요관리 상호연계, 융합혁신기술을 통한 미래대응에 주력한다.

시장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개방형 기획을 확대하고 R&D 전주기에 걸쳐 사업화 가능성을 고려한 평가체계를 중점 운영할 계획이다.

시장창출을 위한 사업화 R&D가 강화된다. 실증 R&D를 확대하고 조기성과를 위한 패키지형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등 에너지기술에 대한 사업화·진흥 기능을 강화한다. 팩키지형 지원체계는 사업화 R&D 후속지원, 시장컨설팅, 인력양성, 기업협력 등이다.

R&D 초기부터 공공보급 사업과 연계를 확대하고 방산·SOC 등 에너지 적용시장 확대를 위한 범부처 협력을 강화한다. 또한 수요관리·에너지 다소비기기분야의 핵심공통기술 개발을 강화하고 신산업 부품소재의 국산화율을 제고함으로써 신산업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핵심공통기술은 수요관리의 핵심요소인 EMS(에너지관리시스템)·PCS(전력컨트롤시스템), 공정에 널리 활용되는 전동기·건조기 등의 기반기술을 개발해중소기업 지원하는 것이다.

생태계 중심의 협력 R&D 기반도 마련된다. 공공분야 R&D 효율성 강화와 성과의 확산을 위해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지역 맞춤형 프로젝트를 발굴, 추진하는데 주력한다. 협력 거버넌스는 산업부-공기업-지자체-출연연이 참여해 개발·이전 및 사업화·지역실증 협력을 하는 것이다.

부품소재 등에서 중소기업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도록 대중소 역할분담모델을 확산하는 한편, 중소·중견 지원비율의 확대를 추진한다.

역량강화를 위한 혁신인프라도 구축된다. 에너지신산업분야를 중심으로 창의융합인재의 양성을 추진하고 에너지정책방향 및 기업현장수요와 연계한 고급인력을 양성한다. 선진국 기술습득, 개도국 기술수출을 지원하는 전략적 국제공동연구를 추진하고 IEA 등 국제기구의 기술아젠다의 선도에도 주력한다.

산업부는 이번 계획의 차질없는 추진을 통해 2023년 기술사업화율 40% 및 신재생 하이브리드, 수요대응형 ESS, 에너지 IoT 등 주요분야 기술수준 90% 이상 달성, 국내외 파급효과 31조원, 일자리 10만명 창출에 기여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