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널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투데이에너지 박동위 기자] 최근 셰일가스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국제 에너지시장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민간사업자들이 새로운 사업기회를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동수 SK E&S 업스트림본부장은 ‘셰일가스 개발 및 도입을 위한 해외진출 전략’ 세미나에서 “우리나라의 민간 LNG 도입사는 자가 소비용만 수입이 가능해 셰일가스 도입 협상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며 “LNG 도입 확보를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 본부장은 “민간기업에서는 셰일가스 등 상대적으로 값싼 가스를 들여와 전력생산 비용을 낮추려 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를 통해 국가경쟁력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LNG 발전소에 저렴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입 채널을 다양화하는 규제 완화가 뒤따라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이동인 GS에너지 가스&파워부문장도 “최동수 본부장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라며 민간기업 직수입 규제를 풀어줄 것을 강조했다.

이 부문장은 “셰일가스 개발에 따라 세계 에너지시장이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는 진화론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라며 “미래 시장관점에서 볼 때 민간 기업의 역량을 키워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에너지공기업 관계자들의 입장은 달랐다.

공기업이나 민간기업 모두 셰일가스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것은 맞지만 민간기업 위주가 되기 보다는 공기업이 주도하고 민간기업과의 협력모델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기중 에경연 가스정책연구실장은 “공기업과 민간의 협력해 ‘가스개발-액화플랜트 건설·운영-수송·도입’을 연계하는 한국형 셰일가스 개발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이 강조하는 한국형 셰일가스 개발 모델이란 상류부문의 경우 석유공사·가스공사·민간이 협력해 셰일가스 기업 인수 및 가스전 개발에 나서는 것을 말한다.

중·하류부문은 가스공사 주도로 액화플랜트사업을 추진하고 국내 건조 수송선을 통해 LNG를 도입하고 플랜트부문의 경우 액화플랜트 건설, 기자재 공급사업 등에 국내 EPC, 철강업체 등이 참여할 수 있도록 민간·공기업간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장성진 석유공사 신규사업처장도 “공기업과 민간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한국형 셰일가스 개발사업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라며 “공기업인 석유공사의 주도로 셰일가스 개발 및 도입에 나서 LNG 도입을 위한 공급거점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는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정우택, 이진복, 이강후 의원이 공동 주최로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으며 김기중 에너지경제연구원 가스정책연구실장과 장성진 한국석유공사 신규사업처장이 발제를 맡았다.

토론자로는 좌장인 이근상 한양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교수를 비롯해 유법민 산업통상자원부 자원개발전략과장, 이용환 산업통상자원부 가스산업과장, 권영식 한국가스공사 자원사업본부장, 최동수 SK E&S 업스트림본부장, 이동인 GS에너지 가스&파워부문장, 김성병 포스코에너지 발전사업개발실장이 참석했다.

이강후 의원은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 성과로 미래 대체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셰일가스 개발에 한미 양국이 공동 협력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본격적인 개발 참여가 기대된다”라며 “오늘 세미나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셰일가스 개발 및 도입 전략을 수립하는데 국회와 정부, 민간이 공동으로 협력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