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수륜 한국LPG충전업협동조합 이사장
유수륜 한국LPG충전업협동조합 이사장

[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LPG사용가구가 매년 큰 폭으로 감소하고 사회 복지시설은 물론 마을 및 군단위 LPG배관망사업이 진척되면서 시중에 유통 중인 LPG용기는 사실 너무 많고 이는 충전, 판매 등 LPG업계의 비용 부담을 높이게 돼 정부는 서둘러 문제해결에 나서야 합니다” 유수륜 한국LPG충전업협동조합 이사장은 “노후 LPG용기가 사고는 물론 LPG사업자들의 부담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어 방치되거나 소비자들이 과다보유 또는 남아도는 유휴 LPG용기를 폐기 하는 것이 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이 강화되면 될수록 전기·수소 등 친환경 에너지의 소비가 확대되는 반면 석유나 LPG 등 화석연료는 수요가 줄고 공급을 위한 LPG용기나 소형저장탱크도 점차 그 숫자가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수륜 LPG충전업협동조합 이사장은 “국내에서 유통 중인 LPG용기의 45.3% 가량이 20년 이상 이고 15년 이상 20만 미만 용기도 3.0%을 차지해 전체 유통 용기 중 15년 이상의 노후화된 LPG용 기가 노후화돼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유인 즉, 20년 미만의 LPG용기는 5년마다 재검사를 하지만 20년 이상 LPG용기는 2년마다 검사를 실시하게 돼 충전, 판매 등 LPG공급자의 비용이 되고 이는 곧 LPG사용자가 부담을 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고 지적했다.

개당 1만4,000~1만5,000원 안팎의 용기 재검사 비용은 LPG공급자가 소비자에게 전달할 때 LPG 가격에 포함시키게 되거나 자체 부담할 경우 충전, 판매 등 LPG사업자의 비용으로 돌아오게 된다는 얘기다.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LPG용기를 2020년 말 기준으로 약 832만여개로 추산하고 있는데 소형LPG저장탱크 설치 및 보급이 확대되면서 필요가 없어진 LPG용기는 도심 또는 농어촌 LPG사용가구에 방치되기 일쑤여서 LPG용기에 가스가 남아있다면 노후된 용기에 혹여 핀홀이라도 발생된다면 LPG사고로 연결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우려했다.

LPG사용자가 안전을 고려해 제대로 관리를 하지 않으면 화재나 가스누출 등에 직면하게 될 때 불쏘시게 역할을 우려가 높다고 말했다.

결국 방치되거나 쓸모가 없어 남아도는 LPG용 기를 일정 가격을 지불하고 회수해 이를 폐기 또는 재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가스안전관리 차원에서 정부는 물론 한국 가스안전공사에서 유휴 또는 방치되는 LPG용기를 회수해 사용하거나 폐기할 수 있는 제도를 서둘러 마련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가급적 빠른 시간 내 수월하게 회수 및 폐기·재사용할 수 있도록 해 LPG용기로 인한 사고발생을 줄이기 위해 정부 차원의 예산 지원과 함께 실태 조사 등의 조치를 검토해 볼만하다고 제안했다.

유수륜 이사장은 “20년 미만의 LPG용기는 5년마다, 그 이상은 2년마다 재검사를 받아야 하는 LPG 용기는 충전, 판매 등 LPG사업자는 물론 소비자에게 부담하는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는 만큼 노후 용기를 폐기해 신규 LPG용기로 대체시켜 타연료대비 가격 경쟁력을 개선시키고 업계 부담도 낮출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철판 가격은 물론 구리, 동 등 원자재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LPG용기는 물론 밸브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LPG 용기 재검사업계는 충전, 판매 등 LPG업계에 재검 사비를 올려줄 것을 당장 요청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LPG용기는 소비자, LPG판매소, 충전소 및 재검사기관 등이 혼재돼 있어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점도 해결과제라고 지적했다.

현행 액법시행규칙 별표13 제1호 다목에 따라 가스공급설비를 가스공급자 부담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LPG판매업계의 소유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충전, 판매 또는 재검사기관, 소비자 등이 각각 구매해 이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충전소나 LPG판매소에서 노후 LPG용기를 폐기하고 신규 LPG용기를 구입할 경우 신규 LPG 용기가 용기를 구매한 충전소 또는 판매소로 돌아 와야 하는데 다른 충전소나 LPG판매소로 유입돼 LPG용기 구입 비용만 부담하는 사례도 비일비재해 피해를 우려한 충전, LPG판매사업자는 신규 용기 구입을 꺼리고 현상도 없지 않다고 강조했다.

유수륜 이사장은 “LPG유통의 근간이라고 할 수있는 용기 수급에 차질이 발생하면서 용기가격 상승으로 공급비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소비자 가격까지 급격히 상승해 LPG의 수요가 감소하는 등 악순환되는 것처럼 LPG산업이 발전적인 모습을 갖춰 건강하고 건전한 발전을 가능할 수 있도록 국회나 정부 및 가스안전공사 차원의 세밀한 관심이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 이사장은 “각 유통단계별로 해야 할 기능이 비록 다르지만 LPG수입 및 정유사는 도입가격 안정화와 LPG시장의 선진화를 위한 시설투자 및 안전시스템 구축 등을 위해 충전업계는 공급시설 투자 및 개선, 신수요 창출을, LPG판매업계는 소비자 안전관리 및 시설관리 등으로 그 역할이 분담 했던 것을 앞으로는 융복합의 시너지 효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전환시켜 나갈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렇게 할 때 수소 및 전기차 확대로 벼랑 끝에 내몰린 LPG자동차 충전시장, 도시가스 등과의 경쟁에 내몰린 LPG용기와 소형저장탱크 시장도 수요 감소로 인한 어려움이 연착륙될 수 있을 것이 라고 기대했다.

LPG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모든 정책과 서비스체계에 관한 시스템으로 LPG산업이 바뀔 때에만 새로운 활기를 띠고 미래 발전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자리매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유 이사장은 “우리사회도 노령화 속도가 빨라지고 1인가구가 점차 확산되고 있는 사회적 변화에 발맞춰 정부 정책도 이에 걸맞게 변화해야 LPG관련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캠핑이 확대되고 1인 가구의 증가로 20kg LPG용기보다는 13kg 이하 소형LPG 용기의 필요성이 높아졌지만 법적 테두리에 묶여 다양한 LPG용기의 보급과 사용 및 취급 제한 관련 규정 개선에 대한 진척이 이뤄지지 않는 것에 대해서도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철재용기에 비해 가볍고 부식이 없으며 투명해 잔량확인이 가능할 뿐 아니라 용기 재검사비용 절감 등의 장점이 있는 컴포지트 용기의 보급 확대 및 지원이 필요하다는 뜻을 피력했다.

다만 콤포지트 용기는 철재용기에 비해 가격이 비싸 정부 차원의 지원이 있어야 보급이 가능하며 분실 및 도난방지를 위해 QR코드나 바코드, RFID 등을 부착해 용기 이력관리를 통해 관리가 이뤄질수 있돌고 해야 한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가벼운 유리섬유를 이용한 콤포지트 소형LPG 용기의 테이크아웃사업을 비롯해 충전, 판매 등 LPG유통업계가 각 사업 영역을 지키기 위해 서로 갈등과 반목을 해 왔던 모습을 버리고 힘을 합칠 때에만 새로운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방법과 다양한 시도를 통해 시대 변화라는 결과를 만들어 낼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 이사장은 “지금까지 성장의 밑거름 역할을 했던 LPG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은 거의 전무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말했다.

LPG에 kg당 4.5원의 안전관리기금을 부과해 도시가스 보급 기반을 조성했던 것을 거울삼아 정부는 영세 서민들의 연료가 된 LPG에 대한 지원책 마련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고 도서벽지 사회적 취약계층이 주로 사용하는 LPG소비자들을 위해 이제는 제도 및 정책적 지원 방안을 강구하고 LPG사 용시설에 대한 지원도 확대해 나가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