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진 본사 전경.
에너진 본사 전경.

[투데이에너지 유정근 기자] 에너진(주)(대표 장진숙)은 2010년 설립해 극한 공정 장비 제조, 전고체 배터리 장비 제조, 수소 충전 인프라, MLCC, MLPC 장비 제조사업을 지속해 오는 등 탄소제로 시대의 그린에너지분야에 적극 참여해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높이며 사회에 더 나은 미래를 제시해 오고 있다.

에너진은 수많은 연구와 수행을 통해 초고압·초고온·초저온·초고진공· 급속열제어 공정을 위한 최적의 레시피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년간의 공정 노하우로 인증 요구 조건을 모두 충족 하는 와이어 와인딩 기술을 자체개발해 고압용기 제조에 적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파단전 누설 설계를 통해 압력용기의 안전한 작동 환경과 최장의 내구성을 보장한다.

에너진의 핵심기술 중 하나는 확산접합 기술이다. 에너진은 확산접합 기술을 통해 사출금형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진은 △냉각효율 증대와 냉각 사이클 타임 단축을 통한 생산성 증대 △금형 내 균일한 냉각구성으로 성형해석을 통해 변형량을 예측한 모델링 수정과 제품의 변형에 의한 시행착오 최소화로 고객 납기의 단축 효과 △제품 변형의 개선 연구 및 제품 역설계로 캐비티 온도의 균일화를 통한 품질 개선 △제품의 후변형 방지 지그사용 최소화 및 사출성형 후, 후공정 최소화를 통한 인건비 절감 및 품질의 안정성, 업무효율 증대 등 제품 생산 최적화 밸런스 라인을 확보했다.

에너진은 자체 기업부설연구소를 통해 원천기술을 고도화하고 차세대 기술을 선행 연구하고 있다. 특히 수소분야, 전고체 배터리/MLCC분야, 원천기술 고도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가스공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등 다양한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이런 연구 개발을 통해 에너진은 국내 특허 39건 등록 및 1건 출원과 해외 특허 16건 등록 및 6건을 출원했다.

특히 에너진은 △2017년 5월 수소 충전용 100MPa PCHE 열교환기 제품 개발 △2018년 10월 ASME/KGS 공동 인증 99MPa 수소충전소용 PCHE 제작 공급 △2019년 고주파유도 수소 개질기 제작 공급 △2020년 5월 수소충전 노즐, 수소가스 증압장치, 수소가스 압축장치 특허 등록 △2021년 8월 수소충전 스테이션 특허 등록 △2022년 8월 수소저장용기 1000 L-ASME, 한국가스안전공사(KGS) 인증 등 수소분야 사업을 인정받아 H2 이노베이션 어워드 대상을 수상했다.

에너진은 수소 공급 단계 중 압축, 저장, 냉각 장비에 해당하는 제조 기술을 갖춰 인프라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수소사업에서 에너진의 주요 제품은 에너진 벨로우즈 타입 수소 압축기, TYPE1 대용량 수소 저장 용기, 에너진 수소용 열교환기(PCHE)다.

에너진 벨로우즈 타입 수소 압축기는 현재 연구개발과제 진행 중이며 △ 최고 1000MPa의 증압기 제조 기술 보유 △수소가스 냉각기술 보유 △통형 벨로우즈 타입 증압기 △기존 증압기의 단점 극복 △고효율 장수명 증압기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TYPE1 대용량 수소 저장 용기는 가스안전공사 및 ASME 인증을 완료했으며 △100MPa, 1,000L 이상 저장 가능 △와이어 와인딩 적용한 TYPE1 형 태 △파단전 누설 (LBB-LEAK BEFORE BURST) 설계 △피로 균열 방지하는 Pre-stressed 구조 △적층형 모듈형식으로 증설 가능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에너진 수소용 열교환기는 제품 출시 및 실증이 진행 중이며 △사용압력 최고 99MPa에서 수소 저온 열교환 △ 수소 및 냉매 가스 유동 설계 △이상적인 확산접합 공정 △Shell&Tube 열교환기의 약 1/8 사이즈 △30g/s, 60g/s, 120g/s 열교환 용량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에너진은 국내에서는 수소충전소 운영 특수목적 법인과 업무협약을 추진하고 수소충전소 구축 업체와 네트워크를 형성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해외에서는 ASME(미국), CE(PED)(유럽), SELO(중국), MHLW(일본), POSH(말레이시아) 등 국가별 인증 획득 추진 및 판매권을 부여하고 다국적 기업과 전략적 협력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