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정부가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변동성 보완 및 안정적 전력계통 운영을 위해 마련된 ESS(에너지저장장치) 발전 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공기업 및 연구기관, 금융기관 등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제1차 ESS 산업발전 협의회’를 개최했다.
 
협의회는 기술개발과 시장제도, 산업육성, 수출지원 등 4개 분과로 구성되고 오는 2036년까지 세계 ESS 시장 점유율 35%를 목표로 정부의 ESS 산업 발전 전략을 토대로 기술개발에서부터 보급 확대, 해외 진출 및 국제 교류 활성화 등 다양한 과제를 지속적으로 이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전력 계통 문제 해결과 배터리 산업성장을 위한 미래 방향을 설정했다는 것이 그 동안 지지부진했던 ESS 분야에 마중물 역할을 한 것으로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한때 우리나라는 배터리 강국으로 꼽히기도 했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2020년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50%가 넘는 점유율을 차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점유율은 2021년 36.3%, 지난해 14.8% 수준까지 추락했다.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은 2021년 시장점유율 2위와 3위였으나 지난해 5위와 4위로 하락했다.
 
정부 주도로 ESS에 대한 대대적인 보급 정책을 통해 시장이 확장했지만 ESS 화재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며 수요를 위축시키고 생산업체의 발목을 잡았다.
 
이런 상황에서 산업부의 ESS 산업 발전 전략과 협의체 구성은 ESS 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발판으로 삼을만 하다.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증가와 탄소중립정책에 따라 ESS 시장은 폭발적 성장이 예상된다. 이제 다시 ESS 업계는 정부의 장기적인 지원책을 바탕으로 그간 불안정했던 설비의 안전성 신뢰를 회복하고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끌어올리는데 노력해야 한다.
 
화재 사고에 대한 근원적인 원인을 해결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그렇다고 손놓고 있을 수 만은 없는 일이다. 
 
ESS 산업이 과거의 활력을 되찾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투자 유인과 함께 관련 정책을 총괄해 추진할 컨트롤타워를 중심으로 업계가 유기적으로 움직여야 가능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