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우리나라와 영국이 신규 원자력발전 건설  방안과 핵심광물 실무회의 신설, 대규모 해상  풍력 건설 등에 대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우리 정부는 영국과 지난해 11월 ‘한영 청정  에너지 파트너십’ 합의를 했다.

합의 배경에는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갈등과 기후위기 등으로 인해 에너지 공급망이 불안정한 가운데 청정에너지를 중심으로 에너지 안보 및 탄소중립 가속화를 위한 양국 간 협력이 중요하다고 공통된 인식이다.

양국은 원전 협력방안을 추진하고 청정수소와 에너지 기술개발 등에 공조하기로 합의했다. 

정부는 바로 하루 전 덴마크와 수소에너지에 대한 정책 및 산업 현황, 연구개발(R&D) 협력 등에 대한 공동 노력을 논의하기도 했다. 

정부의 이같은 행보는 에너지 안보라는 측면도 있지만 실질적인 에너지 개발 및 사용면에서 원전 생태계 복원과 함께 재생에너지 비중도 높여야 하는 부담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재생에너지 용량을 3배 확대하기로 한 국제 서약에 동참했다. 

설령 국제 서약이 구속력이 없다고는 해도 선언적 약속에 그칠 경우 국제적 비판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이를 실행에 옮길 정책적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노릇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비율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보면 매우 저조한 것은 사실이다. 

전 세계 풍력·태양광 발전 비중이 10%를 넘어서지만 우리는 5%에 채 미치지 못한다는 국제 보고서가 나왔다.

수치로만 본다면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세계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기후위기에 대응해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신속하게 나선 세계적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비춰지는 대목이다.

각국은 재생에너지, 그중에서도 태양광과 풍력발전에 상당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상위권의 에너지 소비국이면 여전히 석탄 발전 비중이 30%를 넘어서고 있어 어찌보면 에너지 양극화가 심각한 나라일수도 있다.

세계 각국과 에너지 개발을 위한 공동노력에 있어 우리의 자원 여건과 경제성, 친환경성 등을 충분히 고려한 유연하고 현실적인 정책 방향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